공항에도 알기쉽게 코드라는게 있습니다.
예를 들어 인천공항은 RKSI 또는 ICN 이라 합니다.
여기서 RKSI 는 ICAO(국제민간항공기구)의 4-Letter코드이고,
ICN 은 IATA(국제항공운송협회)의 3-Letter 입니다.
IATA 코드는 별 다른 규칙은 없습니다.
그래서 한눈에 대충 어디쯤인지 알수가 있죠....
하지만 ICAO 코드는 일정 규칙에 의해 만들어진 코드입니다.
몇몇 분들이 RKSI 에서 RK 를 Republic of Korea 의 약자로 생각하시는데, 큰 오산입니다...
왜냐하면 일본 도 R 로 시작하거든요.... 나리타 공항이 RJAA 입니다.
먼저 맨처음 R 은 지역을 뜻합니다. 세계를 총 22 구역으로 나누어서 각 구역마다 코드를 넣은거죠...
A - Western South Pacific
B - Iceland/Greenland
C - Canada
D - West Africa
E - Northern Europe
F - Southern Africa
G - Northwestern Africa
H - Northeastern Africa
K - USA
L - Southern Europe,Israel and Turkey
M - Central America
N - South Pacific
O - Southwest Asia (excluding Israel and Turkey), Afghanistan and Pakistan
P - Eastern North Pacific
R - Western North Pacific
S - South America
T - Caribbean
U - Russia and former Soviet States
V - South Asia (except Afghanistan and Pakistan) and mainland Southeast Asia
W - Maritime Southeast Asia (except the Philippines)
Y - Australia
Z - China, Mongolia and North Korea
일본과 우리나라는 R 지역입니다.
중국은 땅덩어리가 커서 Z 라는 코드를 따로 부여받았고, 북한은 중국 코드를 사용중입니다.
두번째 코드는 바로 국가명이죠....우리나라는 Korea 이니깐 RK.. 이고, 일본은 Japan 이니깐 RJ.. 입니다.
하지만 미국, 러시아는 다릅니다. 미국은 그냥 3자리 IATA 코드 앞부분에 K 만 달랑 붙여버리면 ICAO 코드가 되어버립니다. 러시아는 땅덩어리가 크다보니 국가명대신 지역코드를 넣습니다.
세번째 코드는 그 나라 지역 코드 입니다.
우리나라의 경우엔
경기 : S
강원 : N (일부는 M)
전라 : J
충청 : T (일부는 U, D)
경상(제주) : P
입니다. 다른 나라는 어떻게 되어있는지 잘 모르겠습니다.
마지막 코드는 최대한 공항의 지역명을 붙입니다.
물론 아닌곳도 있긴 하지만, 우리나라공항 대부분은 그렇더라구요...
'항공 > 지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서울-제주 하늘길 복선화 시행 젭슨뷰 (0) | 2012.07.06 |
---|---|
서울 제주 하늘길 복선화 시행 (0) | 2012.07.03 |
Boeing 737 Eyebrow window 에 대해서.... (0) | 2009.04.27 |
에어버스 기종 코드 규칙 (0) | 2008.01.26 |
보잉 커스터머 코드에 대해서.... (0) | 2008.01.21 |